본문 바로가기
[언론보도]

<미디어스>"누가 봐도 국립국악원장 알박기"…'김건희 황제 관람 위증' 공무원 지원

by 국회의원 이기헌(고양시병) 2025. 3. 19.
 

"누가 봐도 국립국악원장 알박기"…'김건희 황제 관람 위증' 공무원 지원 - 미디어스

[미디어스=노하연 기자] 국립국악원장 알박기 논란이 제기됐다. 민간 전문가로 한정했던 국립국악원장 공모에 \'김건희 KTV 황제 관람\' 의혹에 대해 위증한 문화체육관광부 고위공무원이 이름을

www.mediaus.co.kr

 

-대통령령 개정…공무원 지원 불가 삭제
-국악계 "전문성 무관한 공무원 임명 강력 반대"
-문체부 “정해진 것 없다…아직 상황 진행 중”

 

[미디어스=노하연 기자] 국립국악원장 알박기 논란이 제기됐다. 민간 전문가로 한정했던 국립국악원장 공모에 '김건희 KTV 황제 관람' 의혹에 대해 위증한 문화체육관광부 고위공무원이 이름을 올렸다. 올해부터 행정직 공무원이 지원할 수 있도록 대통령령이 개정됐다. 

국립국악원은 지난해 6월 김영운 전 원장이 퇴임한 후 강대금 원장 직무대행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다 지난해 12월, 기존 민간 전문가만 지원 가능했던 국립국악원장직이 대통령령 개정을 통해 행정직 공무원도 응모할 수 있는 직위로 변경됐다. 

​지난해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부 국정감사에 출석한 유병채 문체부 국민소통실장.(국회방송 갈무리)​ ​지난해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부 국정감사에 출석한 유병채 문체부 국민소통실장.(국회방송 갈무리)​

국악계는 “국립국악원을 관치행정의 틀 안에 가두어 통제를 강화하려는 시도”라고 비판했다. 18일 전·현직 국립국악원 예술감독 27명은 성명을 내어 “국립국악원은 단순한 행정기관이 아니라 국악의 가치를 지키고 공유하며 발전시키는 문화예술기관”이라며 “행정직 고위공무원의 국립국악원장 임명을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예술감독들은 “국악에 대한 깊은 이해와 전문성 없이 단순한 행정 경험만으로 국립국악원을 운영하는 것은 국악계의 발전을 저해하고 정체성을 훼손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병채 문체부 국민소통실장이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 실장은 대통령실 문화체육비서관을 지냈으며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김건희 씨의 KTV 무관중 국악 공연 관람 논란과 관련해 거짓 해명으로 사과한 전력이 있다. 

지난 5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기헌 의원은 유 실장에게 “국립국악원장 면접을 봤느냐”며 “국악에 대한 전문성이 있느냐”고 물었다. 유 실장은 “개인적인 선택”이라면서도 “국악계 인사는 아니지만 국악계 발전을 위해서 제가 가진 장점을 발휘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고 답했다.

이 의원은 “작년에 있던 국립국악원장 공모 공고는 공무원이 지원 불가였다. 그런데 지금 공무원 지원 불가가 올해 공고에서 삭제된다”며 “원래는 국악 종사자만 가능했던 것이 문화예술정책 종사자로 추가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의원은 “유병채 실장은 지난 국감 때도 KTV 황제 관람 등 여러 가지로 지적을 받았던 분이고 위증 혐의도 있었다”며 “국민 누가봐도 알박기”라고 지적했다. 이에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그렇지 않다”며 “국악원 조직을 확대하고 변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자료를 살피며 머리를 만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자료를 살피며 머리를 만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앞서 지난 7일 전·현직 국립국악원장과 국악연구실장 13명으로 구성된 국립국악원 현안 비상대책협의회가 반대 성명을 발표했다. 비상대책협의회는 “그간 개방공모 제도를 통하여 국악과 공연 분야의 전문성을 지닌 문화예술계 인사가 맡아 오던 국립국악원장 직위에 행정직 공무원이 응모·임명될 수 있도록 2024년 12월 말에 법령을 급히 개정하였으며, 현재 공모를 진행하고 있다”며 “국립국악원을 이끌어갈 국립국악원장 직위에 행정직 공무원을 임명하고자 한다면, 이는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와 공연예술의 발전을 위하여 반드시 철회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체부는 국악원장 공모에 공무원도 가능하게 바뀐 것은 행정 관리차원이라는 입장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미디어스와의 통화에서 “채용절차가 아직 진행중이며 현 시점 누가 최종 응모했는지 알기 어렵다”며 “아직 역량평가 등 심사가 남아있어 관련 절차가 더 진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